본문 바로가기
내일배움캠프

[내일배움캠프] Day 32 - UX 기획 및 리서치 2주차

by 이응이응시옷 2025. 3. 10.
728x90

01. 유저 리서치의 중요성

✔️ 유저 리서치란?
유저의 행동과 동기를 특정 맥락에서 조사하여 제품 및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는 활동

📌 유저 리서치는 비즈니스의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

 

✔️ 유저 리서치의 중요성
📌 조직 내 유저 이해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도움

유저 이해도 강화

  • 유저의 행동과 동기를 파악할 수 있음
  •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를 발견할 수 있음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

  • 의사 결정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음
  • 사전에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유저 리서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에서도 유저 리서처(User Researcher) 직군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02. 유저 리서치 종류와 목적

✔️ 유저 리서치의 종류
📌 닐슨 노먼 그룹의 What-Why 프레임워크에 따라 유저 리서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음

📌 비즈니스 관점에서는 마켓 리서치, 경쟁사 분석 등의 데스크 리서치를 활용해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

✔️ 유저 리서치 목적
📌 유저 리서치는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함께 진행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음

📝 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

📌 소수 유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유저를 대표하기는 어려움

  • 유저의 생각, 의견, 감정을 이해하여 "왜(Why)" 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것이 목적
  • 주요 활동: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VoC 분석

📊 정량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 "왜(Why)"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려움

  • 유저의 행동 기반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엇(What)"과 "얼마나(How much/many)" 에 대한 답을 얻는 것이 목적
  • 주요 활동: 설문조사, A/B 테스트, 애널리틱스

03. 데스크 리서치: 마켓 리서치 & 경쟁사 분석

✔️ 마켓 리서치란?
📌 거시적 관점에서 자사 서비스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는 과정

마켓 리서치 주요 요소

  • 시장 규모 및 성장 동향: 유저 수요와 성장 가능성을 분석
  • 수익 구조: 유저가 가치를 느끼고 지불할 의사가 있는 부분 파악
  • 법적 제약: 법적 문제를 예측하고 대비

✔️ 경쟁사 분석이란?
📌 경쟁사는 직접 경쟁사와 간접 경쟁사로 나눌 수 있음

  • 직접 경쟁사: 동일한 산업군에서 유사한 가격대로 경쟁하는 서비스
  • 간접 경쟁사: 자사 서비스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

경쟁사 분석 주요 기법

  •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험(Threat) 분석
  • 포지셔닝 맵핑: 경쟁사와 자사 서비스가 유저 인식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분석

📌 데이터 기반 경쟁사 분석을 위해 data.ai와 같은 툴을 활용할 수 있음


04. 정성적 리서치 방법론

✔️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1:1 대화로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얻는 방법

심층 인터뷰 준비 과정

  • 인터뷰 목적 설정
  • 대상자 선정 & 리크루팅
  • 질문 리스트 작성

📌 제이콥 닐슨에 따르면 페르소나당 5명의 유저를 인터뷰하면 85%의 사용성 문제를 발견할 수 있음

✔️ 포커스 그룹 (Focus Group)
📌 6~9명의 유저를 동시에 인터뷰하는 방법

  • 참가자의 의견에 중립적으로 접근해야 함
  • 특정 참가자가 지나치게 말이 많거나 조용할 경우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

✔️ VoC 분석 (Voice of Customer Analysis)
📌 고객센터, 앱스토어 리뷰 등을 분석하는 방법

  • 고객 불만 및 건의 사항을 분석하여 유저 니즈를 파악할 수 있음

📌 추천 리서치 툴: Dovetail, Condens, Notably


05. 정량적 리서치 방법론

✔️ 설문조사 (Survey)
📌 설문 문항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설문조사의 질이 결정됨
설문 설계 시 주의할 점

  • 기술 용어나 전문 용어를 피하고, 필요한 경우 정의와 예시를 추가
  • 질문자의 의도가 드러나지 않도록 중립적인 질문을 구성

✔️ A/B 테스트 (A/B Testing)
📌 두 개 이상의 옵션을 나누어 유저 반응을 비교하는 방법
A/B 테스트 설계 시 유의할 점

  • 동일한 기간에 진행해야 함
  • 하나의 변인만 테스트해야 함
  • 충분한 모수를 확보해야 함

📌 A/B 테스트 툴: VWO, 구글 옵티마이즈, 핵클, 앰플리튜드

✔️ 애널리틱스 (Analytics)
📌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유저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
애널리틱스에서 놓치기 쉬운 점

  • 특정 이벤트나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함
  • 상관 관계가 인과 관계로 오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함

📌 추천 애널리틱스 툴: 구글 애널리틱스, 앰플리튜드, 믹스패널

 


 

[과제] 구인구직 서비스를 사용하는 취준생 유저가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겪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심층 인터뷰 질문을 작성해보세요

 

1️⃣ 아이스브레이킹 질문

  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어떤 전공을 하셨고, 어떤 직무를 준비하고 계신가요?)
  2. 현재 취업 준비를 시작하신 지 얼마나 되셨나요?
  3. 취업 준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예: 직무 경험, 학벌, 포트폴리오 등)
  4. 평소에 주로 사용하는 구직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예: 잡코리아, 원티드, 사람인 등)
  5. 구직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만족스러웠던 경험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2️⃣ 답을 바로 떠올릴 수 있는 질문

  1. 취업 정보를 얻기 위해 어떤 방법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구직 서비스, 유튜브, 커뮤니티, 멘토링 등)
  2. 구직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무엇인가요? (예: 공고 검색, 이력서 작성, AI 자소서 분석 등)
  3. 원하는 채용 공고를 찾을 때 어떤 기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시나요? (예: 연봉, 기업 문화, 복지, 직무 적합성 등)
  4. 구직 서비스를 사용할 때 가장 불편했던 점이 있었다면 무엇인가요?
  5. 특정 구직 서비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거나 혼란스러웠던 경험이 있나요?

3️⃣ 고민이 필요한 질문

  1. 구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추천 채용 공고가 본인의 니즈와 잘 맞는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이유는? 아니라면 어떤 점이 부족한가요?)
  2. 지원 후 기업의 응답이 없거나, 공고가 비활성화된 경우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이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3. 이력서를 제출한 후, 본인의 서류가 얼마나 검토되고 있는지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나요? (이런 정보가 제공된다면 어떻게 활용할 것 같나요?)
  4. 구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AI 추천 기능(이력서 분석, 자소서 첨삭 등)을 활용해본 경험이 있나요? 만약 사용해봤다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5. 다른 취업 준비생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되는 요소나 부족한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4️⃣ 마무리 질문

  1. 지금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직 서비스에서 가장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2. 만약 새로운 구직 서비스가 출시된다면, 어떤 기능이 포함되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나요?
  3. 본인의 취업 준비 과정에서 가장 도움이 된 정보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주실 수 있을까요?
  4. 마지막으로, 오늘 인터뷰를 통해 생각하게 된 점이나 추가적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마무리]

 

오늘은 튜터님과 함께 디자인 카타를 했다
뭔가 매일 하던 디자인 카타랑 다르게 진행되서 어색하면서 또 재밌었다ㅋㅋㅋ

 

728x90